2019. 1. 3. 01:34ㆍ수학 이론/추상대수학
Lagrange's theorem은 군 \(G\)의 부분군 \(H \le G\)에 대해, \(|H|\)가 \(|G|\)의 약수라는 정리이다.
조금 더 일반적으로는 이렇게 쓸 수 있다.
$$ (G : K) = (G : H)(H : K) $$
\(H \le G\)에 대해 \((G : H)\)는 \(H\)의 coset의 개수를 의미한다. \(H\)의 coset들이 \(G\)를 분할한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.
Proof.
\(H = \bigsqcup_{i} x_{i} K\), \(G = \bigsqcup_{j} y_{j} H\)라고 두자. \(\bigsqcup\)은 disjoint - union을 의미한다.
그렇다면 \(G = \bigcup_{i,j} y_{j}x_{i} K\)로 나타낼 수 있고, 모든 \(y_{j}x_{i}K\)가 같거나 disjoint하다는 걸 보이면 된다.
그런데 Lang은 군끼리 곱하는(...) 혁신적인 연산을 아무렇지 않게 초장부터 써왔으므로, 이 표기를 부담없이 사용하면 증명이 수월하다.
\(G \le A\), \(H \le A\)에 대해
\(GH := \left\{ gh : g \in G, h \in H \right\}\)로 정의하자.
이 때 \(K \le H\)이므로 \(KH = H\)임이 자명하다. 왜냐면 임의의 \(k \in K, h \in H\)에 대해 \(k^{-1}h \in H\)니까!
If \(y_{a}x_{b}K = y_{c}x_{d}K\) :
\(y_{a}x_{b}KH = y_{c}x_{d}KH\) (양변에 H를 곱한다)
\(y_{a}x_{b}H = y_{c}x_{d}H\)
이 때, \(x_{i} \in H\)이므로 \(x_{b}H = x_{d}H = H\).
따라서 \(y_{a}H = y_{c}H\)인데, 양변에 \(G\)를 곱하면 된다.
애초에 \(y_{i}H\)가 \(H\)의 left coset이고, 이들은 \(G\)를 분할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므로 증명은 끝난다.
'수학 이론 > 추상대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ormal Subgroup 이야기 (4) - Butterfly Lemma (Zassenhaus Lemma) (0) | 2019.01.08 |
---|---|
Normal Subgroup 이야기 (3) - Solvable group (0) | 2019.01.08 |
Normal Subgroup 이야기 (2) - Canonical Map과 Isomorphism Theorems (0) | 2019.01.05 |
Normal subgroup 이야기 (1) (0) | 2019.01.04 |
Keith Nicholson - Introduction to Abstract Algebra, Good Exercises (0) | 2018.01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