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9. 3. 5. 13:43ㆍ수학 이론/추상대수학
원래는 symmetric group에 이어서 쓰려고 했지만...
The Alternating Group
지난 포스트에서 을 인 group으로 정의했었다. 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:
그런데 사실 은 에 그 정의가 의존하므로, 엄밀하게는 라고 써야 맞단다. 짜증나지만 수학하는 사람들이 원래 이렇다.
하지만 사실 그럴 필요가 없었던 것이, 적당한 에 대해서 가 에서도 잘 돌아가도록 restriction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. 그냥 단순히 으로 주고 에 집어넣으면 된다. 뒤의 은 의 값을 바꾸지 않고, 따라서 은 에 따라 그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. 나아가 을 알 수 있다.
A few properties of
(a) is generated by 3 - cycles.
말인즉슨, 이라고 하자. (는 transposition)
여기서 인접한 transposition을 3-cycle로 만들 수 있다는 거다. 두 transposition의 곱 가
- 공통 원소를 가질 경우 : identity, 또는 3-cycle.
- 공통 원소를 갖지 않을 경우 : .
transposition은 짝수개이므로 항상 남기지 않고 모두 3-cycle로 바꿀 수 있다.
(b) if , all 3-cycles are conjugate in .
즉, 임의의 와 에 대해 이 존재해서 을 만족한다.
임의의 cycle 과 에 대해, 이 성립한다는 유용한 성질이 있다.
그래서 인 를 잡으면 되지만, 과연 가 even이라는 보장이 있을까?
있다. 만약 가 odd라면, 와 다른 2개의 원소 를 잡아서 대신 를 쓰면 된다. 라는 조건이 필요한 이유. 에서 반례가 있는지는 나중에 찾아봐야겠다.
Simplicity of
Theorem. 일 때, 은 simple group이다.
아까 Lemma (b)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.
만약 의 non - trivial normal subgroup 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. 그렇다면 다음을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:
Claim. 에 속하는 적당한 3 - cycle이 존재한다.
Claim을 보인다면 모든 의 3 - cycle이 에 속하게 되고, ( is normal)
(a)에 의해서 이 되어 모순, 즉 Theorem을 증명할 수 있게 된다.
Claim은 Theorem에 비해 훨씬 쉬워 보이지만, 이를 보이기 위해서도 쉽지 않은 idea를 내어야 한다.
Claim 2. 에 속하는 가 아닌 permutation들 중 fixed point가 가장 많은 것을 라 하자. 는 3 - cycle이다.
는 모든 에서 잘 정의되므로 Claim을 증명하는 데 쓰일 수 있다.
을 의 orbit으로 decompose하자. 이므로 2개 이상의 원소를 가지는 orbit이 존재한다.
Case 1. 모든 (크기가 1보다 큰) orbit의 크기가 2
도 even이므로, 크기가 2인 orbit은 최소 2개 존재한다. 따라서 으로 나타낼 수 있다.
이 때 적당한 에 대해 를 정의한다. 그리고 새로운 순열 를 정의하자. 은 의 conjugation과 의 곱이기 때문에 의 원소가 된다. 이 때 은 보다 fixed point를 많이 가지게 되는데,
- 은 가 fixed이지만 는 그렇지 않다. 가 2개 이득.
- 은 가 unfixed이고, 는 가 unfixed, 는 모른다. 가 최대 1개 손해.
- 이외의 모든 원소에 대해, 는 fixed이고 는 모른다. 가 손해보지 않는다.
따라서 Case 1의 경우는 성립할 수 없다.
Case 2. 크기가 3 이상인 orbit이 하나 이상 존재
가 움직이는 가장 큰 orbit의 원소를 라고 하자. 만약 가 3-cycle 가 아니라면, 에 의해서 움직이는 원소가 적어도 2개 이상 있어야 한다.
랭형이 어렵게 써놨는데, 만약 움직이는 원소가 1개()밖에 없다면 이 되는데, 이 4-cycle은 odd라서 에 속할 수 없다. 그래서 가 존재해서 가 성립한다.
똑같이 를 잡고, 를 생각하면 더 많은 fixed point를 갖기 때문에 모순이 된다.
Case 1, 2의 분석을 합쳐보았을 때, 는 3 - cycle이 되어 원래 명제가 증명된다.
is not simple
는 simple하지만, 는 normal subgroup을 찾을 수 있다. 랭형은 이걸 연습문제로 줬는데, 스포하자면
은 order 4의 normal subgroup이다.
는 4개의 자연수를 2-2 그룹으로 쪼갤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열거한 것이기 때문에, 임의의 에 대해,
가 성립한다. 다른 원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고, 따라서 는 뿐 아니라 의 normal subgroup이 된다.
'수학 이론 > 추상대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roup Action 이야기 (3) - The symmetric Group (1) | 2019.03.01 |
---|---|
Group Action 이야기 (2) - Isotropy group & Orbit (0) | 2019.01.16 |
Group Action 이야기 (1) (0) | 2019.01.10 |
Normal Subgroup 이야기 (5) Schreier thm, Jordan - Hölder thm (完) (0) | 2019.01.08 |
Normal Subgroup 이야기 (4) - Butterfly Lemma (Zassenhaus Lemma) (0) | 2019.01.08 |